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안녕,헤이즐( The fault in our stars)

by special S 2023. 8. 7.
반응형

영화에서의 헤이즐과 어거스터스

영화 "안녕, 헤이즐"은 존 그린이 쓴 2012년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인기 로맨틱 드라마 영화입니다. 2014년 개봉한 이 영화는 조시 분 감독이 연출을 맡았고 쉐일린 우들리가 헤이즐 그레이스로, 안셀 엘고트가 어거스터스 워터스로 캐스팅이 되었습니다. 병마가 호시탐탐 그들의 사랑에 끼어들지만 두려워하지 않고 사랑을 이어가는 감동적인 영화입니다.

영화의 줄거리

헤이즐 그레이스(쉐일린 우들리)는 인디애나에 사는 16세 소녀로 갑상선 말기 암과 싸우고 있습니다. 그녀는 13세에 말기 암이라는 진단을 받았고 암이 폐로 전이되어서 죽을뻔한 위기를 겪게 되지만 기적적으로 살아납니다. 혼자서는 호흡을 하기가 힘들어서 산소 탱크를 가지고 다녀야만 합니다. 헤이즐은 대부분의 시간을 집에서 보내게 되고 우울증을 염려하는 어머니를 통해서 성공회 교회에서 주최하는 서포트 그룹에 참여를 권유받게 됩니다. 헤이즐은 마지못해 서포트 그룹에 참석하게 되고 그 모임에서 골육종으로 다리 중 하나를 잃었지만 매력적이고 카리스마 넘치는 어거스터스 워터스(안셀 엘고트)를 만납니다. 헝클어진 머리를 하고 허름한 청바지를 입었지만 둘은 대화를 이어 나갈수록 서로에게 더 빠져들게 됩니다. 어거스터스의 초대를 받아 그의 집에 가게 된 헤이즐은 서로에게 감명 깊게 읽은 책을 선물합니다. 헤이즐은 '장엄의 고뇌'라는 책을 선물하고 어거스터스는 '새벽의 대가'를 선물합니다. 장엄의 고뇌는 '피터 반 호텐'이라는 네덜란드계 미국인 작가에 의해서 쓰인 소설로 암에 걸린 사춘기 소녀 안나가 등장한다. 자신의 처지와 비슷한 설정이어서 헤이즐은 그 소설에 몰입하게 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소설의 주인공인 안나의 상태가 점점 더 안 좋아지지만 그녀의 어머니는 튤립맨이라는 남자와 사랑에 빠지게 됩니다. 부유하고 기발한 튤립맨이 안나에게 새로운 암 치료법에 대해서 시도하려는 순간 이 소설은 마치게 됩니다. 헤이즐은 이 소설의 마지막에 대해서 엄청난 궁금증을 가지게 된 나머지 작가에게 개인적으로 연락을 하게 되지만 아무 답도 들을 수가 없게 됩니다. 이런 헤이즐의 고민을 들은 어거스터스는 작가 반호텐의 비서와 연락이 닿게 되고 네덜란드로 온다면 이야기의 끝을 들을 수 있다는 긍정적인 답장을 받게 됩니다. 우여곡절 끝에 그 둘은 네덜란드에 도착해서 작가와 만남을 가지게 됩니다. 하지만 작가는 심한 알코올 중독 증세로 인해 그들이 원했던 소설의 결말은 결국 들을 수가 없게 됩니다. 작가의 비서는 미안한 마음에 소설가 안네 프랭크가 숨어 지내던 집으로 안내를 하게 됩니다. 헤이즐이 오르기엔 가파른 계단을 묵묵히 올라간 헤이즈, 꼭대기에서 어거스터스는 다시 한번 헤이즈에게 고백을 하고 그 둘은 서로의 사랑을 확인하게 됩니다. 네덜란드에서 돌아온 뒤 어거스터스의 병세는 급격하게 나빠지게 되지만 그 둘은 매일같이 만나며 서로의 사랑을 확인합니다. 결국 어거스터스는 숨을 거두게 되고 그의 장례식에서 소설의 작가인 반 호텐을 만나게 됩니다. 그는 어거스터스가 '소설의 이후'를 헤이즐을 위하여 썼다는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결국 헤이즐은 어거스터스의 글을 보게 되고 그 글을 추모사로 읽게 됩니다. 그 글은 헤이즐에 대한 어거스터스의 감정을 정리해 놓은 글입니다. 그 편지를 읽으면서 헤이즐은 어거스터스의 마음을 진심으로 느끼게 됩니다.

평론가들의 평가

이 영화는 비평가와 청중으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습니다. 비평가들은 영화의 정서적 깊이, 진심 어린 연기, 원작 소설을 최대한 표현해 내는 능력에 대하여 칭찬했습니다. 특히 쉐일린 우들리와 안셀 엘고트의 연기는 너무나 합이 잘 맞았고 주인공들의 감정들을 구체적으로 묘사함으로써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불치병과 같은 민감한 주제를 다루는 영화와 죽음에 직면한 젊은이들의 진정성 있는 묘사 역시 인정받았습니다. 그러나 일부 비평가들은 이야기의 전개속도나 예측 가능한 결말과 같은 특정 장면에서 결점을 발견했지만 전반적으로 이 영화는 존 그린의 소설을 충실하게 각색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이 영화는 상업적으로도 대단히 큰 성공을 거두어 비평가와 시청자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더욱 확고히 했습니다.

반응형